추천도서

    <공감적 피로의 영적 외상 이해> 손영득 CLC(기독교문서선교회)
    2021-08-27 11:50:53
    Admin2
    조회수   157

    표지 1.jpg

    신앙도서 > 교회교육 > 교육일반 > 상담

    <공감적 피로의 영적 외상 이해>  손영득 CLC(기독교문서선교회)

      자연재해 또는 인재로 발생한 재난 속 생존한 이들을 돕는 과정에서, 치료자들과 종사자들 그리고 상담자들이 받은 영적 외상에 대한 이해와 그 치유법을 소개한다. ‘대리적 외상’,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공감적 피로등으로 불리는, 치료자들과 종사자들의 심리적, 영적 충격과 고통에 관한 학자들의 연구를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그 치료법으로 서양의 심리 치료 관점과 신체 외상 치료의 의학적 모델에 따른 단계 그리고 시스템 사고와 해석학적 접근에 기초한 치료과정을 제시한다. 특히 목회자의 영적 외상 이해와 치유에 초점을 맞추며 하나님 이미지()와의 상호연결성을 강조한다. 부록에 공감적 피로, 영적 외상 자가 검사표, 목회 상담을 위한 진단 차트를 수록해 독자가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고통에 괴로워하는 사람과 상담을 진행한 결과, 정신 건강 보호자로서의 목사는 공감적 피로의 공감 스트레스”(compassion stress)를 경험한다. “공감 스트레스는 내담자의 고통 노출과 관련된 스트레스로서 정의되고, “공감 능력”(empathy ability)은 다른 이들의 고통을 감지하는 능력으로 규정된다.

     이런 공감적 기질은 흔히 조력자(도우미, helper), 특히 정신 건강 보호자(목사)로서의 역할을 선택하도록 사람들을 이끈다. 결국, 이 능력은 내담자(피해자, suerer)에 대한 노출 기능으로서, 고통받는 내담자의 정서를 경험하는 것으로서 정의되는 정서 전염”(emotional contagion)에 대한 민감성과 연관된다(Figley, 1995, 252).  -p.21

      외상적 사건은 사람이 통제하지 못하는 강렬한 자극에 잠기는 것이다. 신체적, 심리적 발달, 연령 그리고 외상이 일어나는 특별한 환경을 포함한 많은 조건은 개인이 특별한 외상적 사건에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 반응할 것인가에 영향을 미친다(Figley, 1995, 131-132).

     외상적 사건들에 노출되거나 외상적 사건의 결과로 초래되는 정신 병리는 정신 건강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외상적 사건들에 노출된 사람들의 일시적 능력을 통해 건강 위험 행동들을 발달시키거나 유지하도록 이끌 수 있다(Figley, 1995, 131; Schnurr & Green, 2004, 217).  -p.30

      십자가의 빛 속에서 공감적 피로로 고통받는 사람은 그들의 고난과 함께하시고 그들의 고난 속에 함께 계시는 하나님의 존재를 발견하게 된다. 하나님의 연민은 위로하시는 신학적 현실(comforting theological reality)을 제시하는데, 이것을 통해 목회 돌봄은 공감적 피로로 고통당하는 자에게 새로운 비전을 제공할 수 있다.  -p.107

      목회 돌봄에서의 공감적 피로 관리는 노하우(Know-how)에 관한 것이 아니라 이해(understanding)에 관한 것이다. 대처 기제들(coping mechanisms)은 공감적 피로의 역학에 대한 이해에 기초해 개발된 전략들이다. 고통 속에서 공감적 피로의 상호작용 역학관계의 네트워킹에 대한 이해는 공감적 피로에 대한 자신의 기본적인 입장과 태도를 변화시키고 적응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된다(Louw, 2005, 97)  -p.120

     결론적으로 목사들의 사역 환경에서의 성취는 수행(실적)불안(performance anxiety)(CF)으로 강박관념에 집착할 때 하나님의 은총의 예술(the art of divine grace)을 손상할 수 있다. 그 때, 삶은 몇 가지 처방(율법주의)에 따라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이 된다. 해석학적 접근을 활용함으로 성취(업적)에서 소명, 헌신, 봉사로 이어지는 목사들의 위치 변화(position shift)는 목회적 돌봄 가운데서 공감적 피로(CF)의 영적 충격으로부터 자신들과 교구성도 모두를 예방하도록 돕는다.

     목사들이 위치변화에 의한 목회적 돌봄은 사람들과의 관계 속으로 들어가 그 가운데서 실존적, 사회적 정치적 및 생태학적 영역에 까지 하나님의 돌봄을 증명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만남이 중요한데 실제 상황 가운데서 신앙 통하여 의미 발견하고 성령에 의해 인도 받는 하나님과 인간사이의 대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성령의 사역(구원)이 중요하고, 하나님과 인간 사이 주도권은 하나님 편에 있다. 인간의 유일한 기여는 구원을 감사함으로 받아드리는 신앙에 있다. 하나님과의 만남은 성령에 의해 이루어지고 인간의 언행에 의해서 증명된다. 신앙이 실제 삶의 상황 속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나님을 해석하고, 세상과 사람을 해석함으로 이 상황이 복음과 접촉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회적 돌봄은 신앙 관점에서 현실 해석하고 복음의 구원과 연결한다. 하나님 인식 방법의 전환이 필요(목회해석학의 과제)한데 신자가 가지고 있는 하나님 이미지에 대한 관심이다. 즉 하나님을 권력과 무관심의 이미지로부터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에서 도출되는 연민과 공감, 고난의 이미지로 전환이 필요하다

     목사들의 위치변화(position shift)를 통해서 자기 자신과 동료 인간의 고통(CF)에 눈을 여는 것은 하나님의 은총을 통해서이기 때문에, 삶은 다른 사람에게 손을 뻗는(봉사하는) 기회가 된다(Louw, 2005, 134). -p. 149-150

     

    추천사

    이 세 용 박사 l 안산반월교회 원로목사, ()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새벽만나저자

    신 동 진 목사 l 동은교회 담임, () 남아공 케이프타운 한인교회 담임

    김 일 두 박사 l KAIST 신소재공학과 석좌교수

     

    저자 서문

      1장 공감적 피로의 영적 외상 이해 14

    1. 공감적 피로의 배경 14

    2. 기독교 정신 건강 보호자인 목사의 공감적 피로의 영적 외상 19

     

    2장 공감적 피로의 영적 외상에 관련된 용어 및 특징 28

    1. 외상과 외상 스트레스 28

    2. 이차적 외상 32

    3. 영적 성숙 50

    4. 하나님 이미지 53

     

    3장 공감적 피로(CF) 현상에 대한 목회 전략상 예방 55

    1. 공감적 피로의 생존전략 54

    2. 공감적 피로 예방을 위한 모델 68

     

    4장 외상 돌봄에서 정신 건강 보호자로서의 목사 125

    1. 외상 돌봄에서 정신 건강 보호자로서 목사의 역할 125

    2. 외상 돌봄에서 목사의 하나님 이미지 130

    3. 정신 건강 보호자로서 목사(성직자)의 위치 변화: 성취(스트레스)에서

    4. 소명, 헌신 그리고 봉사(도움)의 사역에로의 재구성 141

     

    5장 전체 요약과 결론 151

     

    참고 문헌 156

    부록 1 공감적 피로 자가 검사 163

    부록 2 영적 외상 검사 167

    부록 3 목회 의미 차등분석 170

    부록 4 목회 상담을 위한 간단한 진단 차트 173

     

    기독교와 교회의 정신 건강 보호자인 목회자들의 공감적 피로와 탈진으로부터 생존(生存)하고 치유(治癒)하여 영적 성숙함으로 발전하기 위한 생존전략과 예방과 치유의 몇 가지의 모델(model)을 제시한 귀중한 책입니다.                            

                                                - 이 세 용 박사 _ 안산반월교회 원로목사, ()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새벽만나저자

      목회자들이 자신을 되돌아봐야 할 꼭 필요한 내용과 문제를 점검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상담학과 외상학의 특정 분야를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목회자들이 무엇을 되돌아보고 자신에 대해 어떤 부분을 점검해야 하는지를 알려 줍니다.       

                                                 - 신 동 진 목사 _ 동은교회 담임, () 남아공 케이프타운한인교회 담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스트레스가 더욱 증폭되고 공감적 외상이 점점 더 커져 가는 현시대에 목회자들이 처한 환경과 빠른 시대 흐름 속에서 공감적 피로가 어떻게 이해되고 치유되어야 하는지를 잘 다루었습니다.                             

                                                - 김 일 두 박사 _ KAIST 신소재공학과 석좌교수, ACS Nano 부편집장, 멤브레인혁신센터 센터장

     

    손영득 목사

    -효성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M.A., 상담심리학)

    - 경북대학교 박사과정(Cand., 상담심리학)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equi)

    - 남아공 스텔렌보쉬대학교 신학대학원(Th.M., 목회상담학)

    - 남아공 스텔렌보쉬대학교 신학대학원 박사과정(Cand., 목회상담학)

    - , 동은교회 부목사

     

    댓글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첨부 파일
    2 요한계시록-이필찬    Admin3 2021-08-27
    1 <공감적 피로의 영적 외상 이해> 손영득 CLC(기독교문서선교회)    Admin2 2021-08-27
    1